목록crud (3)
궤도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Xssy/btraL2aag2o/feyxSx0ORQLkZ0FM4Q9K7k/img.png)
북적북적의 백엔드를 클론하고 있다. Github build.gradle plugins { id 'org.springframework.boot' version '2.5.2' id 'io.spring.dependency-management' version '1.0.11.RELEASE' id 'java' } group = 'jpa' version = '0.0.1-SNAPSHOT' sourceCompatibility = '11' configurations { compileOnly {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} all { exclude group: 'org.springframework.boot', module: 'spring-boot-starter-logging' } } repo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N1Ytm/btqVyUj9ICa/qxBwLBPMQvI4o3EaytwNt1/img.png)
지난 시간엔 sequelize를 활용하여 CRUD를 구현하고 이걸 웹으로 확인해 보았다. 이제 이걸 프론트가 사용할 수 있도록 API로 만들어보자~ 아 맞아 그리고 지금까진 실행할 때 npm start로 했는데 앞으론 nodemon install 해서 nodemon app.js로 실행하자. 일단 postman을 설치하자 이렇게 생겼다. 이건 앱을 설치한 버전이고 그냥 구글 크롬 앱 추가하기로 설치해도 괜찮다. 크롬으로 하는게 더 편한 것 같은데 난 하도 앱설치하라고 귀찮게 하여 설치한 것이다. 먼저 app.js를 수정해야한다. // var createError = require('http-errors'); // var express = require('express'); // var path = requ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0zriT/btqVdNfelQV/EXj9zhtBoTXJuYqFoEFkkK/img.png)
지난 시간에 sequelize를 이용하여 기존에 만들어둔 DB를 연동하는 것까지 성공했다. 이제 DB의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create, read, update, delete 즉, CRUD를 해보도록 하겠다. 이 과정에서 내가 한 뻘짓들은 수치스러워서 말하기도 부끄럽지만 공익을 위해 작성한다. victorydntmd.tistory.com/29 [Node.js] sequelize(3) - CRUD + RESTful 게시판 만들기 2019. 07. 21 수정 이전 글에서 sequelize에 대한 기본 개념을 알아보았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sequelize를 이용하여 게시판을 만들어보겠습니다. 개발환경 express-generator 4.16.1 MySQL 8.0.16 sequelize 5.1.. v..